728x90
반응형
디자인 직무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
한 번쯤은 들어봤을 질문:
👉 “UX랑 UI, 도대체 뭐가 다른 거예요?”
지원은 해야겠고, 이름은 비슷한데
설명하자니 헷갈리는 이 두 직무!
오늘은 신입도 이해할 수 있도록 아주 쉽게 정리해볼게요 😊
🧠 UX vs UI – 이 한 문장으로 구분해보세요!
구분설명
UX (User Experience) | 사용자의 경험 전반을 설계하는 사람 |
UI (User Interface) | 그 경험을 눈에 보이게 디자인하는 사람 |
즉,
UX = ‘어떻게 하면 더 편리할까?’ 고민하는 설계자
UI = ‘어떻게 하면 더 보기 좋을까?’ 고민하는 시각 디자이너
🔍 UX 디자이너가 하는 일
- 사용자 리서치 및 인터뷰
- 사용자의 흐름(플로우) 설계
- 와이어프레임 기획
- 사용성 테스트 및 개선안 도출
📌 사용하는 툴:
Figma, Miro, Notion, Adobe XD 등
📌 필요한 역량:
논리적 사고, 공감력, 분석력, 커뮤니케이션 능력
🎨 UI 디자이너가 하는 일
- UX에서 나온 설계안을 디자인으로 시각화
- 버튼, 색상, 폰트, 여백 등 인터페이스 요소 디자인
- 스타일 가이드 제작
- 디자이너-개발자 협업을 위한 시안 제작
📌 사용하는 툴:
Figma, Photoshop, Illustrator, Zeplin 등
📌 필요한 역량:
디자인 감각, 세부 표현력, 도구 활용 능력, 꼼꼼함
🤔 UX 디자이너가 더 높은 직급인가요?
아니요!
UX가 상위 개념이고 UI가 그 안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지만
각각 독립적인 전문 직무예요.
대기업에서는 UX와 UI를 나누는 경우가 많고,
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에서는 “UX/UI 디자이너”로 통합해서 뽑는 경우도 많아요.
💡 신입이 기억해야 할 포인트
- UX는 전략 설계자, UI는 시각 전달자
- 두 역할이 함께 있어야 진짜 ‘사용자 중심’ 제품이 탄생해요
- 신입이라면 Figma로 간단한 UX/UI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준비하는 게 좋아요
UX는 사용자의 마음을 그리고,
UI는 그 마음을 눈에 보이게 만드는 일입니다.
둘은 다르지만,
좋은 경험을 만들기 위해 항상 함께 움직이는 파트너예요 💡
728x90
'취업 HoneyTIP!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입사 후 바로 쓰는 툴, OA 능력 진짜 필요한가요? – 실무 기준으로 정리 (3) | 2025.06.09 |
---|---|
운영 매니저? 오퍼레이션 직무가 뭐예요? – 신입도 이해하는 실무 설명 (0) | 2025.06.09 |
사무보조 vs 사무직, 신입이 꼭 알아야 할 차이 (2) | 2025.06.08 |
영업직은 사람 만나는 일? 요즘은 달라요 – 최신 영업 직무 요약 정리 (2) | 2025.06.07 |
기획자는 도대체 뭘 기획하나요? – 기획 직무 요약 정리 (1) | 2025.06.07 |